본문 바로가기
시사

컨벤션 효과란? 경제·사회·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과 대한민국 사례 총정리

by simbahouse 2025. 4. 15.
728x90

컨벤션효과 사진

서론

컨벤션 효과라고 하면 정치에서의 지지율 상승만 떠올리기 쉽지만, 실제로는 경제, 사회문화,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현상입니다. 특히 대규모 전당대회나 국제행사, 정당의 후보 지명 등 컨벤션 이벤트는 단기간에 국민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각계 각층에 직·간접적 파급효과를 유발합니다.

이 글에서는 ‘컨벤션 효과’를 보다 넓은 시야에서 조망하고, 이를 경제적·사회문화적·산업적 효과로 나누어 대한민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컨벤션 효과란?

‘컨벤션 효과(Convention Effect)’란, 대규모 정치·문화·산업 이벤트가 개최된 이후, 단기적으로 정치적 지지율 또는 사회·경제적 지표가 상승 또는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원래는 미국에서 전당대회(Convention) 이후 후보 지지율이 오르는 현상을 지칭
  • 최근에는 대규모 행사가 특정 분야에 주는 영향 전반으로 확대되어 사용됨

 

2. 경제적 효과 – 소비 촉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

컨벤션 개최는 숙박, 외식, 교통, 관광, 광고, 기념품 판매 등 다양한 부문에서 소비를 유발하여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사례: 2015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 국내외 15,000여 명의 참가자와 방문객 유입
  • 직·간접적 경제효과 7,276억 원 발생
  • 숙박업, 식음료업, 관광업 매출 상승
  • 출처: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전 일시정지 다음

www.kspo.or.kr

 

3. 사회·문화적 효과 – 공동체 인식과 자긍심 상승

컨벤션은 시민들의 소속감과 자부심, 문화적 교류 확대, 시민 참여 증가를 유도합니다.

사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92개국, 2,920명 선수 참가
  • 자원봉사자 14,882명 참여
  • 시민 자긍심 및 애국심 고취
  • 한류 콘텐츠 확산 촉진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백서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mcst.go.kr

 

4. 산업적 효과 – 컨벤션 산업 성장과 인프라 확대

컨벤션 행사는 전시·회의 산업(MICE)의 성장을 유도하며, 도시 인프라·교통·정보기술 서비스의 발전을 촉진합니다.

사례: 코엑스 기반 MICE 산업

  • 연간 200건 이상의 국제회의 및 전시회 개최
  • 서울 MICE 페스타, 뷰티산업박람회 등 성장
  • 30여 개 연관 산업군에 파급 효과
  • 2023년 서울 MICE 산업 생산 유발 효과 약 2조 1천억 원
  • 출처: 서울관광재단
 

서울관광재단 SEOUL TOURISM ORGANIZATION

시민과 함께 서울관광의 가치를 높이는 전문기관

www.sto.or.kr

 

5. 통합적 시사점

분야 주요 효과 대한민국 사례
경제 소비 증가, 지역경제 활성화 2015 광주 유니버시아드
사회문화 시민 자긍심, 문화 확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산업 MICE 산업, 도시 기반 확대 코엑스 MICE 클러스터

 

결론

컨벤션 효과는 단순한 이벤트 효과가 아닙니다. 그것은 도시와 국가, 공동체가 하나의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하는 기회입니다. 경제적 수익을 넘어, 사회문화적 결속, 산업 구조 전환까지 아우르는 이 거대한 흐름은 우리 사회가 앞으로 컨벤션을 어떻게 준비하고 활용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참고자료

반응형